일반가정 및 식당에서 주로 사용하는 MSG사용여부에
논란이 많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음식을 와이프보다 제가 주로하는 편이라서
가끔 비장의 무기로 MSG를 조금 사용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인 소견이지만 MSG사용여부에 대해 말을 하는 사람은
두종류로 보고 있습니다.
음식을 아예 못하는 사람이거나 아니면 엄청난 미식가라 생각합니다.
외부에서 식사를 할 경우가 많은데
국물이 끝내준다고 연발하며 말을 하는곳은 대게 MSG사용을
어느정도 하더군요 또 우리식당은 MSG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고
홍보를 하는 식당을 가보면 먼가 빠진듯한 맛이나곤 합니다.
과연 MSG가 무엇때문에 논란의 중심에 있는지 알아보았습니다.
MSG는 만들어진 시기가 100년이 넘는다고 하더군요
조미료의 아버지라 불리는 일본사람이 있는데 이름은 정확히 기억나지 않습니다.
무하튼
조미로는 음식맛의 짠맛,쓴맛,단맛,신맛등 기본적인 맛이아닌
소고기나 다시마를 우렸을때 나는 맛에 착안한 감칠감을 더하여
음식에 화학적 성분을 가미하여 조미료로 완성한 것입니다.
MSG가 문제가된건
1968년 중국의 한음식점에서 중국음식을 먹고난후 몸에 마비증상이
나타난 사람이 의학 학술지에 편지를 보내면서 발단은 시작되었습니다.
이러한 증상으로 "중국식당증후군"이란 별칭으로 오늘날까지
MSG사용여부의 핵심적인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말하면 MSG와 "중국식당증후군"은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없다고 판명되었으나 여전히 논란의 중심에 있습니다.
아무래도
화학적인 첨가물이 자연에서 얻는 영양보다 뛰어날리는 없습니다.
단 조미료사용이 착한음식 양심적 음식의 잣대로 평가되는것 또한
문제가 많습니다.
뭐든 적당한게 좋겠죠.. 유난을 떨어서도 안되고 또한 근거자료없이
논란의 대상이 되는것도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증후군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잉 적응 증후군 증상 난 지금 일중독증인가 (0) | 2015.04.11 |
---|---|
기관지확장증, 모세기관지염 증상 및 치료방법 (0) | 2014.11.12 |
손지압, 발지압 습관화하면 건강이 보인다. (0) | 2014.11.03 |
마른기침, 잔기침 원인 / 기침에 좋은 음식 (0) | 2014.10.24 |
20대 조기치매증가 치매초기증상 및 치매예방법 (2) | 2014.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