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정보

직장인 햇살론 사업자 햇살론 승인률 차이나는 이유

햇살론은 2금융권인 상호금융사에서 시행하는 대표적인 서민대출입니다.

직장인 사업자 프리랜서 동일 진행이 가능한 상품이지만 승인률에 있어서는

업종 분류별로 많은 차이가 나타납니다.

오늘은 직장인, 프리랜서, 사업자 햇살론 승인률의 차이가 나는 이유에 대해

분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햇살론은 신용보증재단의 보증서가 발급되는 보증대출의 형식입니다.

취급지점에서 아무리 조건을 완화한다 하여도 보증서가 발급되지 않으면

햇살론 진행은 힘이든데요 보증서 발급에는 나름의 자격조건이 부합되어야

발급이 됩니다.

부채비율 40%이하이면서 연소득이 4천만원 미만등 기본적인 조건이 있는데

문제는 사대보험이 적용되는 직장인의 경우에는 부채비율 계산 소득확인등

여려가지 사항 확인이 쉬운데 프리랜서, 특히 자영업의 경우 소득환산이

쉽지않습니다,

 

 

여기서 잠깐

부채상환비율 40%적용이란?

정부와 금융당국은 부채비율 40%이하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쉽게 설명드리면 소득대비 월 불입하는 금액이 40%를 넘어서면 부채 안정성이 위험성에

 

이른다는 말입니다.

 

100만원의 급여를 받는 사람은 월 금융 지출비용으로 40만원 이하인 경우에 해당되며

 

햇살론에서 말하는 부채비율 40%는 햇살론으로 대환 및 생계/사업자금 대출이 실행되었을 때

 

5년 상환 원금균등분할로 매월 지출되는 금액을 말합니다. 

 

 

자영업 프리랜서 소득증빙 어려움

자영업자와 프리랜서는 직장인에 비해 실 소득을 정확히 판단하기가 힘듭니다.

이런 의미에서 금융사들은 직장인에 비해 프리랜서와 자영업자의 대출조건을

조금더 까다롭게 보는데요 실제 프리랜서와 자영업자는 소득 증빙을 소득금액 증명원으로 증빙합니다.

소득금액 증명원의 경우 프리랜서 일 경우에는 최소금액 단위로 책정되는 경우가 많고 자영업자의 경우

신고된 금액에 한정되어 소득이 확정됩니다. 이마져도 사업의 분류상 경비율의 차이가 있어 정확한

데이터를 통한 실소득을 판가름 하기가 힘듭니다.

특히나 사업자의 경우 부과세과세표준 증명원상 소득은 연단위 1억을 신고하였다고 할지라도 소득금액의

경우 2천만원 이내로 신고된 경우가 많아서 직장인 연소득과 비교하면 낮은 수치로 책정되는 경우가 많아서

햇살론 진행에 불리하게 작용할수 있습니다.

 

 

햇살론 진행을 위해선 취급지점 선택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햇살론은 2금융권중 상호금융사에서 진행되는 상품입니다.

농협,새마을금고,신협,저축은행등에서 진행되는 상품으로 수많은 햇살론 취급지점의 승인률을 참고하여

진행하기에는 현실적으로 힘든 부분이 많습니다.

특히나 자영엊자나 프리랜서의 경우 햇살론 대상에서 제외하는 취급지점이 많아 제 아무리 조건이 부합된다

하더라도 진행이 불가한 경우가 많습니다.

햇살론을 진행하는 한가지 팁은 여러 저축은행과 제휴를 맺은 햇살론 수탁법인을 통해 진행하면 조금더

승인률을 높일수 있습니다.

 

 

햇살론 수탁법인의 경우 여러 금융사와 제휴를 맺어 자신에게 최적화된 햇살론을 추천함과 동시에

최근에 가장 핫한 저축은행을 통해 진행하는 노하우가 있어 더욱 많은 사람들이 몰리고 있습니다.

[ 햇살론 가능금액 확인하기 클릭 ]

저축은행 햇살론의 경우 취급지점을 방문하지 않고 가능여부를 가조회로 확인할수 있으므로

신용도 하락의 위험이 없고 안전하게 햇살론 가능여부를 확인할수 있으므로 햇살론에 대해

궁금한 사항이 있다면 도움받아 보시기 바랍니다.